애그리거트
그림과 같이 사위 수준 개념을 이용해 전체 모델을 정리하면 직접적인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상위 수준 모델을 개별 객체 단위로 다시 그려보면 아래와 같다.
백 개 이상의 테이블을 한 장의 ERD에 모두 표시하면 개별 테이블 간의 관계를 파악하느라 큰 틀에서 데이터 구조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처럼, 도메인 객체 모델이 복잡해지면 개별 구성요소 위주로 모델을 이해하게 되고 전반적인 구조나 큰 수준에서 도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 애그리거트를 사용해서 표현️️️
모델을 애그리거트 단위로 묶어서 다시 표현 한 것이다. 동일한 모델이지만 애그리거트를 사용 함으로써 모델 관계를 개별 모델 수준과 상위 수준에서 모두 이해 할 수있다.
•
애그리거트는 모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일관성을 관리하는 기준이 된다.
•
복잡한 도메인을 단순한 구조로 만들어준다.
•
관련된 모델을 하나로 모았기 때문에 애그리거트에 속한 객체는 유하사하거나 동일한 라이프 사이클을 갖는다.
•
에그리거트는 경계를 갖는다. 한 애그리거트에 속한 객체는 다른 에그리거트에 속하지 않는다.
◦
(경계를 설정할 때 기본이 되는 것은 도메인 규칙과 요구 사항이다.)
◦
ex) 주문할 상품 개수, 배송지 정보, 주문자 정보는 주문 시점에 함께 생성되므로 이들은 한 애그리거트에 속한다.
•
흔히 ‘A가 B를 갖는다’로 설계할 수 있는 요구사항이 있다면 A와B를 한 애그리거트로 묶어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A와 B가 한 애그리거트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Review의 변경이 Product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반대로 Product의 변경이 Review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한 애그리거트에 속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표현한 것처럼 서로 다른 애그리거트에 속한다.
️️도메인에 대한 경험이 생기고 도메인 규칙을 제대로 이해할수록 애그리거트의 실제 크기는 줄어든다.
애그리거트 루트
주문 애그리거트는 다음을 포함한다.
•
총 금액인 totalAmounts를 갖고 있는 Order 엔티티
•
개별 구매 상품의 개수인 quantity와 금액인 price를 갖고 있는 OrderLine 밸류
구매할 상품의 개수를 변경하면 한 OrderLine의 quantitiy를 변경하고 더불어 Order의 totalAmounts도 변경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메린 규칙을 어기고 데이터 일관성이 깨진다. 애그리거트는 여러 객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한 객체만 상태가 정상이면 안된다.
애그리거트에 속한 모든 객체가 일관된 상태를 유지하려면 애그리거트 전체를 관리할 주체가 필요한데, 바로 애그리거트의 루트 엔티티이다.
도메인 규칙과 일관성
public class Order {
// 에그리거트 루트는 도메인 규칙을 구현한 기능을 제공한다.
public void changeShippingInfo(ShippingInfo newShippingInfo) {
verifyNotYetShipped();
setShippingInfo(newShippingInfo);
}
private void verifyNotYetShipped() {
...
}
}
Java
복사
️️ 애그리거트 외부에서 애그리거트에 속한 객체를 직접 변경하면 안된다.! 이것은 애그리거트 루트가 강제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 없어 모델의 일관성을 깨는 원인이 된다.
ShippingInfo si = order.getShippingInfo();
si.setAddress(newAddress);
Java
복사
이 코드는 애그리거트 루트인 Order에서 ShippingInfo를 가져와 직접 정보를 변경한다. 주문 상태에 상관없이 배송지 주소를 변경하는데, 이는 업무 규칙을 무시하고 직접 DB에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 과 같은 결과를 만든다. 즉 논리적인 데이터 일관성이 깨지게 되는 것이다.
루트를 통해서만 도메인 로직을 구현하기 만들려면 도메인 모델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를 습관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
•
단순히 필드를 변경하는 set메서드를 공개 범위로 만들지 않는다.
•
밸류 타입은 불변으로 구현한다.
공개 set 메서드는 도메인의 의미나 의도를 표현하지 못하고 도메인 로직을 도메인 객체가 아닌 응용 영역이나 표현 영역으로 분산시킨다.
불변타입으로 구현하게 된다면 밸류 객체을 변경할 수 없으며 애그리거트 루트에서 밸류 객체를 구해도 애그리거트 외부에서 밸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없다.
ShippingInfo si = order.getShippingInfo();
si.setAddress(newAddress); // ShippingInfo가 불변이면, 이 코드는 컴파일 에러!.
Java
복사
즉 다음과 같이 애그리거트 루트가 제공하는 메서드에 새로운 밸류 객체를 전달해서 값을 변경하는 방법밖에 없다.
public class Order {
private ShippingInfo shippingInfo;
public void changeShippingInfo(ShippingInfo newShippingInfo) {
verifyNotYetShipping();
setShippingInfo(newShippingInfo);
}
// set 메서드의 접근 허용 범위는 private이다.
private void setShippingInfo(ShippingInfo newShippingInfo) {
// 밸류가 불변이면 새로운 객체를 할당해서 값을 변경해야 한다.
// 불변이므로 this.shipping.set()함수를 사용 할 수 없다.
this.shippingInfo = newShippingInfo;
}
}
Java
복사
애그리거트 루트의 기능 구현
애그리거트는 기능 실행을 위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구현 기술의 제약이나 내부 모델링 규칙 때문에 OrderLine 목록을 별도 클래스로 분리했다고 해보자.
public class OrderLines{
private List<OrderLine> lines;
public Money getTotalAmounts() {... 구현 ...}
public void changeOrderLines(List<OrderLine> newLines) {
this.lines = newLines;
}
}
Java
복사
️️ getOrderLines을 제공했을 때 문제점!
OrderLines는 changeOrderLines()와 getTotalAmounts()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만약 Order가 getOrderLines()와 같이 OrderLines를 구할 수 있는 메서드를 제공하면 애그리거트 외부에서 OrderLines의 기능을 실핼할 수 잇게 된다.
OrderLines lines = order.getOrderLines();
//외부에서 에그리거트 내부 상태 변경!
// order의 totalAmounts가 값이 OrderLines가 일치하지 않게 됨
lines.changeOrderLines(newOrderLines);
Java
복사
이 기능은 주문의 OrderLine 목록이 바뀌는데 총합은 계산하지 않는 버그를 만든다. 이러한 버그가 생기지 않도록 미리 불변으로 구현 하면 된다. 보통 한 애그리거트에 속하는 모델은 한 패키지에 속하기 때문에 패키지나 protected범위를 사용하면 애그리거트 외부에서 상태 변경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트랜잭션 범위
트랜잭션 범위는 작을수록 좋다. 한 트랜잭션이 한 개 테이이블을 수정하는 것과 세 개의 테이블을 수정하는 것을 비교하면 선능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한 개 테이블을 수정하면 트랜잭션 총돌을 막기 위해 잠그는 대상이 한 개 테이블의 한 행으로 한정되지만, 세 개의 테이블을 수정하면 잠금 대상이 더 많아진다.
️️️ 한 트랜잭션에서는 한 개의 애그리거트만 수정해야 한다.
동일하게 한 트랜잭션에서는 한 개의 애그리거트만 수정해야 한다. 한 트랜잭션에서 두 개 이상의 애그리거트를 수정하면 트랜잭션 총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public class Order {
private Orderer orderer;
public void shipTo(ShippingInfo newShippingInfo,
boolean useNewShippingAddrAsMemberAddr ) {
verifyNotYetShipped();
if (useNewShippingAddrAsMemberAddr) {
// 다른 애그리거트의 상태를 변경하면 안 됨!.
orderer.getMember().changeAddress(newShippingInfo.getAddress());
}
}
}
...
Java
복사
위 소스코드는 애그리거트가 자신의 책임 범위를 넘어 다른 애그리거트의 상태까지 관리하는 꼴이 된다. 애그리거트는 최대한 서로 독립적이어야 하는데 한 애그리거트가 다른 애그리거트의 기능에 의존하기 시작하면 애그리거트 간 결합도가 높아진다. 결합도가 높아지면 수정 비용이 증가하므로 유지보수 하는데 힘들게 된다.
️️️부득이하게 한 트랜잭션으로 두 개 이상의 애그리거트를 수정해야 한다면
부득이하게 한 트랜잭션으로 두 개 이상의 애그리거트를 수정해야 한다면 애그리거트를 직접 수정하지 말고 응용서비스에서 두 애그리거트를 수정하도록 한다.
public class changeOrderService {
// 두 개 이상의 애그리거트를 변경해야 한다면
// 응용 서비스에서 각 애그리거트의 상태를 변경한다.
@Transcational
public void changeShippingInfo(OrderId id, ShippingInfo newShippingInfo,
boolean useNewShippingAddrAsMemberAddr) {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byId(id);
if (order == null) throw new OrderNotFoundException();
order.shipTo(newShippingInfo);
if (useNewShippingAddrAsMemberAddr) {
Member member = findMember(Order.getOrderer());
member.changeAddress(newShippingInfo.getAddress());
}
}
}
Java
복사
리포지터리와 애그리거트
애그리거트는 개념상 완전한 한 개의 도메인 모델을 표현하므로 객체의 영속성을 처리하는데 리포지토리는 애그리거트 단위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Order 애그리거트와 관련된 테이블이 세 개라면 Order 애그리거트를 저장할 때 애그리거트 루트와 매핑되는 테이블뿐만 아니라 애그리거트에 속한 모든 구성요서에 매핑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한다.
// 리포지터리에 애그리거트를 저장하면 애그리거트 전체를 영속화해야 한다.
orderRepository.save(order);
Java
복사
// 리포지터리는 완전한 order를 제공해야 한다.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ById(orderId);
// order가 온전한 애그리거트가 아니면
// 기능 실행 도중 NullPointException 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order.cancel();
Java
복사
ID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참조
한 객체가 다른 객체를 참조하는 것처럼 애그리거트도 다른 애그리거트를 참조한다.
필드를 이용해서 다른 애그리거트를 직접 참조하는 것은 개발자에게 구현의 편리함을 제공해준다.
order.getOrder().getMembmer().getId();
Java
복사
️️ 하지만 필드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참조는 다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편한 탐색 오용
•
성능에 대한 고민
•
확장 어려움
1.
편한 탐색 오용
애그리거트 내부에서 다른 애그리거트 객체에 접근할 수 있으면 다음 코드처럼 구현의 편리함 때문에 다른 애그리거트를 수정하고자 하는 유혹에 빠지기 쉽다.
public class changeOrderService {
private Orderer orderer;
public void changeShippingInfo(OrderId id, ShippingInfo newShippingInfo,
boolean useNewShippingAddrAsMemberAddr) {
...
if (useNewShippingAddrAsMemberAddr) {
// 한 애그리거트 내부에서 다른 애그리거트에 접근할 수 있으면
// 구현이 쉬워진다는 것 때문에 다른 애그리거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 유혹에 빠지기 쉽다.
orderer.getMember().changeAddress(newShippingInfo.getAddress());
}
}
}
Java
복사
한 애그리거트에서 다른 애그리거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애그리거트 간의 의존 결합도를 높여서 결과적으로 애그리거트의 변경을 어렵게 한다.
2.
성능에 대한 고민
애그리거트를 직접 참조하면 성능과 관련된 여러 가지 고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JPA를 사용하면 참조한 객체를 지연로딩과 즉시로딩 두가지 방식으로 로딩할 수 있다.
3.
확장 어려움
초기에는 단일 서버에 단일 DBMS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문제는 사용자가 모리기 시작하면서 발생한다. 트래픽이 몰리면 자연스럽게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도메인별로 시스템을 분리한다. 서로 다른 DBMS를 사용할 때도 있다. 이것은 더 이상 다른 애그리거트 루트를 참조하기 위해 JPA와 같은 단일 기술을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런 세 가지 문제를 완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ID를 이용해서 다른 애그리거트를 참조하는 것이다.
ID 참조를 사용하면 모든 객체가 참조로 연결되지 않고 한 애그리거트에 속한 객체들만 참조로 연결된다.
public class changeOrderService {
// 두 개 이상의 애그리거트를 변경해야 한다면
// 응용 서비스에서 각 애그리거트의 상태를 변경한다.
@Transcational
public void changeShippingInfo(OrderId id, ShippingInfo newShippingInfo,
boolean useNewShippingAddrAsMemberAddr) {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byId(id);
if (order == null) throw new OrderNotFoundException();
order.shipTo(newShippingInfo);
if (useNewShippingAddrAsMemberAddr) {
// ID를 이용해서 참조로하는 애그리거트를 구한다.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Order.getOrderer().getMemberId());
member.changeAddress(newShippingInfo.getAddress());
}
}
}
Java
복사
️ ID를 이용한 참조 방식을 사용하면 복잡도를 낮추는 것과 함께 한 애그리거트에서 다른 에그리거트를 수정하는 문제를 근원즉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애그리거트별로 다른 구현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